용어정리

▷관리종목
경영난에 빠져 상장폐지가 될 위험에 처한 주식들이 관리종목이니다. 투자자들의 주의를 환기시키고 상장폐지 유예기간을 줌으로써 기업에게도 정상화 할 수 있는 시간을 줍니다. 

▷보합
전일 종가 대비 시세변동이 없을 때를 의미합니다. 
시세가 상승한 상황에서 시세변동이 없을땐 강보합, 시세가 하락한 상황에서 시세변동이 없을땐 약보합입니다. 

▷수급
수요와 공급을 이르는 말로 매도와 매수의 투자주체를 확인할 때 사용합니다. 

▷조정
조정기간이란 기업의 실적과 외부상황으로 주가가 상승했을 때, 너무 많이 상승한 경우 많은 사람들이 주식을 팔고 이익을 취하며 주가가 하락하는 데 이 시기 조정 기간입니다 

▷물타기
시세가 오름에 따라 매도의 수를 늘리고, 시세가 내림에 따라 매수의 수를 늘려 주식의 평균 단가를 올리거나 내려서 손해위험을 줄이는 거래방법

▷바닥권
주식의 시세가 더 이상 내려가기 힘들정도로 낮은 상태의 범위, 차트상 가장 저점에 위치한 지점.

▷기술적반등
폭락세를 보이던 주가가 호재가 없는데도 상승세를 보이는 상황입니다. 보통 투자자의 심리로 인해 생깁니다. 

▶분할매수

주식을 여러번 나누어 사는 것입니다. 주로 그 주식의 가격상승을 유발하지 않으면서 많은 물량을 확보하기 위해 이루어집니다. 

분할매수를 이용하면 평균매입단가가 낮아지기 때문에 안정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분할매도
주식을 여러번에 걸쳐 나누어 파는 것입니다. 물론 주가가 하락하려는 추세를 보일 때에는 빨리 한꺼번에 팔아야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매도 역시 나누어 하는 것이 좋습니다. 

주가는 매일매일 등락을 거듭합니다. 그 하루하루만 두고 본다면 짧은 기간에 많은 변동을 한 것 같지만, 시간이 지나고 나서 전체적으로 본다면 주가가 크게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너무 조급해하지마시고 분할매수, 매도의 방법이 있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됩니다(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