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십결은 바둑의 고수들이 오랜 경험을 통해 정리한 열 가지 격언으로, 바둑을 두는 데 필요한 전략적 요령과 마음가짐을 담고 있습니다. 이는 단순히 바둑의 기술뿐만 아니라 인생의 지혜로도 널리 응용될 수 있습니다.
1. 부득탐승(不得貪勝)
승리를 탐하지 말라는 뜻으로, 지나친 욕심은 오히려 패배를 초래할 수 있음을 경고합니다. 이마음은 유연성 없이 뻣뻣하게 굳은 마음으로, 이기려는 마음을 앞세우면 마음이 조급해져 국면 전체를 보지 못하고 부분에 집착하게 된다. 결국 일을 그르치게 된다. 주식에서도 돈을 벌기위해 혈안이 되어 있으면 무모한 매매나 위험한 자리에서 매수를 하게 되고, 그에 따라 실패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주식을 하는 것은 돈을 벌기 위함이지만, 돈을 벌려고 해서만 안됩니다. 주식은 지키는게 우선입니다.
2. 입계의완(入界宜緩)
상대의 세력권에 들어갈 때는 신중하고 완만하게 접근해야 합니다. 포석을 끝내고 중반으로 넘어갈때 승패의 갈림길에서 너무 서두르지말고, 신중한 자세가 필요하다는 뜻이다. 어린아이의 마음이 입계의완의 본바탕으로 이것은 천진 무구함이나 평상심으로 통하는 마음이다. 서두리지 말고 조심하고 천천히 해야 한다. 위기와 기회가 번갈아가며 나타날 때, 이 변화를 자기 쪽으로 유리하게 작용하도록 이끄는 사람들이 고수인 것이다. 아무리 좋은 종목 좋은 자리가 보이더라도, 자신의 돈을 모두 넣는 무모한 매매를 해서는 안된다. 너무 서두르지 말고 신중하게 분할매수하면서 비중조절을 해야 할 줄 알아야 한다. 주식은 항상 내 생각대로 흘러가지 않는다는 것을 기본으로 해야 한다.
3. 공피고아(攻彼顧我)
상대를 공격하기 전에 자신의 약점을 먼저 살펴야 한다는 격언으로, 무리한 공격은 화를 불러올 수 있습니다. 섣부른 공격은 화를 자초할 뿐이니 나의 약한 곳부터 지켜둔 다음에 공격하라는 뜻이다. 상대를 공격할 때는 반드시 먼저 자신을 돌아봐야한다. 내가 약점은 없는지 혹시 반격을 당할 소지는 없는지 등을 꼼꼼하게 잘 살펴본 뒤 공격을 하라는 가르침이다. 하수들은 앞뒤 가리지 않고 싸움을 하지만, 고수들은 싸우기 전에 제 돌들들을 돌아 본다. 제 돌들이 약하면 싸우기 전에 힘을 비축하고, 이길 수 있을 때 비로서 싸움에 나선다. 때를 기다릴 경우에는 깊은 물속에 몸을 잠그고, 숨은 용처럼 고요해야 하며, 싸움에 임해서는 호랑이처럼 빠르고 용맹해야 한다. 파도를 피할 수 없으면 물고기처럼 사는 법을 배워야 한다. 주식을 매수하기에 앞서 모든 근거 즉, 일봉과 주봉의 흐름, 재료, 수급, 차트패턴, 거래대금, 시장상황. 이 모든 것을 종합해서 매수에 나서야 한다. 그리고 만약 잘못되어 손실이 났을 때는 손실의 폭이 얼마인지도 생각한 후에 매수에 들어가야 한다. 내가 이길 수 있는 자리인지 아닌지 충분히 살피고 매수에 들어가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
4. 기자쟁선(棄子爭先)
돌 몇 점을 희생하더라도 선수를 잡아야 한다는 전략입니다. 부분적인 손해보다 전체적인 이익을 중시합니다. 돌 몇 점을 버리더라도 선수를 잡아야 한다는 뜻이다. 하수와 고수의 차이는 그 돌을 살릴 가치가 있느냐 없느냐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능력에서 나타난다. 고수는 활용가치를 다한 돌은 미련 없이 버리지만, 초보자들은 자기 편 돌은 하나라도 죽이지 않으려고 고집한다. 고수는 버려서 더 큰 것을 얻고, 하수는 버릴 줄 몰라서 더 큰 것을 잃어버린다. 주식에서는 고점이 어디인지, 저점이 어디인지 알수 없기 때문에 분할매도와 분할매수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고점에서 팔수 없기 때문에, 수익에 대한 욕심을 비우고 적당할 때 분할로 매도를 하면서 우익을 안전하게 챙겨야 하고, 최저점을 잡을 수 없기 때문에 손해볼 생각을 하고 분할로 매수를 들어가야 한다.
5. 사소취대(捨小就大)
작은 것을 버리고 큰 것을 취하라는 뜻으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중요한 것을 우선시해야 한다. 버림은 곧 비움이다. 비우지 못하면 채울수도 없다. 꽉 움켜진 사람은 움켜진 것 때문에 전전긍긍한다. 주식에서 보유종목 중에서도 손실 본 종목 약한 종목은 버리고, 수익이 나는 종목 강한 종목에 비중을 더 두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손실을 작게, 수익을 크게 유지하는 것이 성공투자의 정석이다.
6. 봉위수기(逢危須棄)
위험에 처한 돌은 과감히 버릴 줄 알아야 합니다. 무리하게 살리려다 더 큰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 위험을 만날 때 필요한 것은 사태를 직시할 줄 아는 냉정함이며, 차가운 이성과 분별력 그리고 꿋꿋함이다. 위험에 처한 종목은 손절로 버릴줄도 알아야 한다. 위험에 처한 종목을 살리려고 물타기를 반복하다가 계좌 전체가 망가질수 있다.
7. 신물경속(愼勿輕速)
경솔하거나 졸속하게 두지 말고 신중히 생각하여 착점해야 한다. 바둑에서는 대게 조급한 자가 지고, 참고 기다리는 자가 이긴다. 돌을 놓을 때 경솔히 빨리두지말고 천천히 두어야 한다. 느림의 미학을 깨닫는 일은 쉽지 않지만 오직 마음의 평화에 이른 자만이 느림에 처할 수 있다. 느림은 마음을 고요함의 중심에 놓을 때 비로소 가능하다. 주식투자에서는 기다림이 반이다. 항상 신중하게 생각해서 매매를 하면 후회를 하지 않는다. 기다리는 매매를 할 수 있어야 안정적인 수익을 낼 확률이 올라간다.
8. 동수상응(動須相應)
돌을 움직일 때는 주변 돌들과 호응하며 유기적으로 연결해야 합니다. 착점할 때마다 돌의 능률이 극대화되는 지점을 찾는 감각이 뛰어난 사람이 고수가 되는 것이다. 하수는 상대의 돌을 공격할 때 몰아세우기에 바쁘기만 하다. 혹은 수세에 몰릴 때 도망가기가 바쁘다. 고수가 놓은 돌들은 시기하게도 멀리 떨어져 있으면서도 서로를 응원하고 이어진 돌과 같이 힘을 발휘한다. 종목을 선택할 때는 소외된 종목을 선택하기 보다 지금 시장에 어떤 이슈에 돈이 돌고 있는지 어떤 섹터에 기대감이 살아 있는지 돈의 흐름과 기대감이 살아 있는 종목 안에서 지금 시황과 연결된 종목을 선택하는게 좋다.
9. 피강자보(彼强自保)
상대가 강한 곳에서는 자신의 돌을 보강하여 안정감을 확보해야 한다. 상대가 강한 곳에서는 내쪽의 돌을 잘 보살펴야 한다. 내 돌이 약한데 싸움을 벌인다면 패국으로 가능 지름길이다. 불리할 수도록 참고 기다리는 자세가 필요하다. 기다리다 보면 어려운 국면을 만회할 기회는 찾아오기 마련이다. 매수하기 불리한 자리라면, 매수하기 유리한 자리가 올때까지 참고 기다리는 것이 중요하다. 불리한 자리에서 매수를 반복하는 것은 매매를 쉬는 것보다 못한 결과를 가져온다.
10. 세고취화(勢孤取和)
세력이 빈약한 경우에는 분란을 일으키지 말고 타협하며 살아남는 것이 중요하다. 적이 압도적으로 포진하고 있는 세력 속에서 고립되어 있을 때는 싸우지 말고 화친을 구해야 한다는 뜻이다. 내 세력이 약하면 싸움을 피하고 화평을 구해야 한다. 절대로 싸워서는 안될 때 싸움을 피하고 물러서는 것은 비겁한 것이 아니라 지혜로운 것이다. 아무리 용맹한 자라도 모든 싸움에서 이길 수 없다. 원대한 꿈을 가진 사람이라면 한순간의 불편이나 굴욕도 참고 넘어갈 줄 알아야 한다. 시장이 하락추세이고 돈이 돌지 않는다면 시장과 싸우려하지 말고 쉬는 것도 투자이다.
- 인생의 한 수를 두다 참고, 장석주 지음 -
역사적 배경
위기십결은 당나라 시대 바둑 명수 왕적신(王積薪)이 창안했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후 북송 시대 반신수가 이를 체계화하여 태종에게 헌상한 것으로 전해집니다[7][8].
위기십결의 교훈
이 격언들은 바둑판 위에서뿐만 아니라 삶의 다양한 영역에서 적용될 수 있습니다:
- 전략적 사고: 상황을 분석하고 장기적인 이익을 고려하는 태도.
- 위기 관리: 위험에 직면했을 때 과감히 포기하거나 타협하는 결단력.
- 평정심 유지: 지나친 욕심이나 감정에 휘둘리지 않고 냉철하게 판단하는 자세.
위기십결은 바둑과 인생 모두에서 균형과 지혜를 강조하는 철학적 원칙입니다.
Citations:
[1] https://ko.wikipedia.org/wiki/%EC%9C%84%EA%B8%B0%EC%8B%AD%EA%B2%B0
[2] http://badukbiz.com/View.aspx?No=2766550
[3] https://www.cyberoro.com/news/news_view.oro?num=518427
[4] http://badukbiz.com/View.aspx?No=2753736
[5] https://subokim.wordpress.com/2011/05/21/badoo-ten-maxim/
[6] http://badukbiz.com/View.aspx?No=2802079
[7] https://www.knnews.co.kr/news/articleView.php?idxno=1104324
[8] https://academy.mk.co.kr/news/column_view.php?idx=118
[9] https://www.youtube.com/watch?v=6VXfJBYM1AA
[10] https://blog.naver.com/jc8664/223173652866
[11]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19560993&memberNo=3060953
[12] https://www.youtube.com/watch?v=tCHYw3XUGes
[13] https://blog.naver.com/ks281511/221363554998
[14] http://badukbiz.com/View.aspx?No=2778965
[15] https://cafe.daum.net/MJCHUNG/MtlY/10
[16] https://wordrow.kr/%EC%9D%98%EB%AF%B8/%EC%9C%84%EA%B8%B0%EC%8B%AD%EA%B2%B0/
[17] https://www.badukworld.co.kr/biz/qna/ten.htm
[18] https://blog.naver.com/wikiware/100036997801
[19] http://badukbiz.com/View.aspx?No=2783136
[20] https://cafe.daum.net/mujuseonwon/2urg/6422
[21] https://blog.naver.com/ohyayaya/222995350278
[22] https://blog.naver.com/ivfjjang/70120609190
[23] https://www.youtube.com/watch?v=jrP2mkuoExU
[24] http://gong.co.kr/bookreview/30531
[25] https://www.youtube.com/watch?v=7lQU_mVizMQ
[26] http://service.tygem.com/pub/baduk/baduk_commonsense1_linkfile.html
[27] http://badukbiz.com/View.aspx?No=2962859
'좋은말좋은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애물을 만났다고 반드시 멈춰야 하는 것은 아니다. (0) | 2025.02.11 |
---|---|
복잡한 지식보다 명확한 행동지침이 훨씬 중요하다! (0) | 2025.02.08 |
구하라 그리하면 너희에게 주실 것이요, 찾으라 그리하면 찾아낼 것이요, 문을 두드리라 그리하면 너희에게 열릴 것이니 (0) | 2025.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