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산시스템과 정보시스템 개발 주기 비교

전산시스템과 정보시스템 개발 주기 비교

 

설계단위로 시스템을 만들어내는데 초점인 방법,  정보공학은 장기적인 데이터 관리를 통해 비즈니스 활동이 수행되도록 하는 비즈니스 시스템에 초점

 

EDPS 1950년 대  프로그래밍 생산성 우선이이었으나 빨리 많이 관점. MIS 단계로 S/W에 대한 생산성, 시스템분석과 설계로 어우러져 짜임새 있는 살아있는 시스템으로 SW생산성에 대한 관심, 프로세스를 통한 모델링에 초점. 

 

현재 시스템의 분석가, 운영시스템의 새로운 시스템의 안착을 위한 설계자 중심이었으나 1990년대 정보공학의 엔터프라이즈의 데이터가 정보로서의 가치를 높이는 생산성에 초점.  살아서 움직이는 라이프 사이클의 시스템의 변경, 데이터 지향, 데이터 중심의 시스템

 

비즈니스 활동에서 얻어지는 데이터에 대한 중복성 제거, 프로세스와의 균형, 사용자에게 전해지는 정보로서의 가치를 높이는데 활용,  엔터프라이즈엔지니어링,  엔터프라이즈 전체를 바라봄.   신속한 변경에 대한 관리, 경영을 목표로 함.

 

구조적 프로그램 70년대 후반,  80년대 후반 SW공학 및 정보공학에 엔터프라이즈로 접근해 들어오기 위한 하나의 단계

 

 

 

정보공학적 접근

장기적인 데이터 관리와 데이터관리를 통해 비즈니스 시스템을 갖추는데 목표를 둠

 

아키텍처 변경시 기획단계로

모델 변경시 분석단계로

설계 변경은 설계단계로

프로그래밍 에러의 경우 구축단계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