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반도체 밸류체인과 관련된 국내 종목들은 주로 반도체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기업들로, 중국 시장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거나 중국 기업들과 협력 관계를 맺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래는 주요 종목들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중국 반도체 밸류체인 관련 국내 종목
1. 엠케이전자
- 중국 쿤산에 거점을 두고 현지 반도체 후공정 업체에 본딩와이어와 솔더볼 같은 소재를 공급.
- 중국 반도체 국산화 및 AI 서버 시장 확대에 따른 수혜 기대[4][6].
2. GRT
- 웨이퍼 절단 과정에 사용되는 보호 필름 등 정밀 코팅 소재를 생산.
- 매출의 99%가 중국에서 발생하며, 중국 AI 서버업체와 공급 계약 체결[4][6].
3. 피델릭스
- 반도체 설계(팹리스) 기업으로, 중국 동심반도체가 최대주주.
- 중국 최대 반도체 생산기업 SMIC와 협력 관계를 맺고 있음[4][6].
4. 에스앤에스텍
- 블랭크마스크(반도체 제조용 기판) 전문 기업으로, 중국 시장에서 높은 수출 비중을 차지[5].
5. 티씨케이(TCK)
- 실리콘카바이드(SiC) 링을 생산하며, 웨이퍼 고정 소재 분야에서 글로벌 1위.
- 중국 내 R&D 연구소 설립 시도가 있었으며, 반도체 장비 소재로 주목받음[5].
6.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 삼성전자는 시안과 쑤저우에서 낸드플래시 및 패키징 공장을 운영.
- SK하이닉스는 우시 D램 공장과 충칭 후공정 공장을 운영하며, 중국 내 주요 생산 기지를 보유[2].
7. 리노공업
- 반도체 테스트 소켓 및 프로브 카드 제조사로, 글로벌 및 중국 시장에서 수요 증가 예상.
관련 배경
- 중국은 미국의 제재 속에서도 반도체 밸류체인의 국산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한국 소부장 기업들이 중요한 공급자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1][3].
- 특히 AI와 HBM(고대역폭 메모리) 등 첨단 기술 분야의 성장으로 인해 관련 소재 및 장비 업체들의 수혜가 기대됩니다[4][6].
해당 종목들은 중국 시장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어, 중국 반도체 산업의 성장과 정책 변화에 따라 주가 변동성이 클 수 있습니다.
Citations:
[1] http://money2.daishin.com/pdf/out/intranet_data/Product/ResearchCenter/Report/2023/01/45964_CHINA_SEMI.pdf
[2] https://www.yna.co.kr/view/GYH20230224001100044
[3] https://www.hanaw.com/download/research/FileServer/WEB/global/industry/2022/10/03/220930_china_semi.pdf
[4]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1316094i
[5] https://www.sedaily.com/NewsView/29YPOFQDML
[6]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13162231
[7] https://www.tigeretf.com/ko/insight/hot-etf-introduce/view.do?detailsKey=334
[8] https://csf.kiep.go.kr/issueInfoView.es?article_id=49177&mid=a&board_id=4¤tPage=8&pageCnt=10
[9]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13043361
[10] https://cdn2.micehub.com/home/2023/mme/Files/20231108_133501_8917049044.pdf
[11] https://www.future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7256
'테마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북관련 테마주 (0) | 2025.02.01 |
---|---|
무인함대와 케이엔알시스템 (0) | 2025.01.31 |
LA산불과 이건 산업과의 관계 (0) | 2025.01.31 |
트럼프 이민자 정책과 로봇 기술과의 관계 (1) | 2025.01.31 |
트럼프의 자율 주행 규제 완화 정책 (0) | 2025.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