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 엔터티의 특징
엔터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만약 도출된 엔터티가 다음의 성질을 만족하지 못하면 적절하지 않은 엔터티일 확률이 높다. 반드시 해당 업무에서 필요하고 관리하고자 하는 정보이어야 한다.(예. 환자, 토익의 응시횟수, …) 유일한 식별자에 의해 식별이 가능해야 한다. 영속적으로 존재하는 인스턴스의 집합이어야 한다.(‘한 개’가 아니라 ‘두 개 이상’) 엔터티는 업무 프로세스에 의해 이용되어야 한다. 엔터티는 반드시 속성이 있어야 한다. 엔터티는 다른 엔터티와 최소 한 개 이상의 관계가 있어야 한다. 가. 업무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 엔터티 특징의 첫 번째는 반드시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는 업무에서 필요로 하고 관리하고자 하는 정보여야 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환자라는 엔터티는 의료시스템을 개발하..
- 데이터 아키텍처 & 처리기술 & DBMS/Data Architecture
- · 2020. 4. 8.

2. 엔터티와 인스턴스에 대한 내용과 표기법
엔터티를 표현하는 방법은 각각의 표기법에 따라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사각형으로 표현된다. 다만 이 안에 표현되는 속성의 표현방법이 조금씩 다를 뿐이다. 엔터티와 엔터티간의 ERD를 그리면 [그림 Ⅰ-1-15]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그림 Ⅰ-1-15]에서 과목, 강사, 사건은 엔터티에 해당하고 수학, 영어는 과목이라는 엔터티의 인스턴스이고 이춘식, 조시형은 강사라는 엔터티의 인스턴스이며 사건번호인 2010-001, 2010-002는 사건 엔터티에 대한 인스턴스에 해당한다. ※ 참고 : 오브젝트 모델링에는 클래스(Class)와 오브젝트(Object)라는 개념이 있다. 클래스는 여러 개의 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오브젝트 깡통이다. 이러한 개념은 정보공학의 엔터티가 인스턴스를 포함하는 개념과 비슷하다...
- 데이터 아키텍처 & 처리기술 & DBMS/Data Architecture
- · 2020. 4. 8.

1. 엔터티의 개념
데이터 모델을 이해할 때 가장 명확하게 이해해야 하는 개념 중에 하나가 바로 엔터티(Entity)이다. 이것은 우리말로 실체, 객체라고 번역하기도 하는데 실무적으로 엔터티라는 외래어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본 가이드에서는 엔터티라는 용어를 그대로 사용하기로 한다. 엔터티에 대해서 데이터 모델과 데이터베이스에 권위자가 정의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변별할 수 있는 사물 - Peter Chen (1976) - 데이터베이스 내에서 변별 가능한 객체 - C.J Date (1986) -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어떤 것 - James Martin (1989) - 정보가 저장될 수 있는 사람, 장소, 물건, 사건 그리고 개념 등 - Thomas Bruce (1992) - 위 정의들의 공통점은 다음과 같다. 엔터티는 사..
- 데이터 아키텍처 & 처리기술 & DBMS/Data Architecture
- · 2020. 4. 8.
일반집합연산자
일반 집합 연산자 일반집합 연산자는 수학적 집합 이론에서 사용하는 연산자로서 릴레이션 연산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일반 집합 연산자 중 합집합 교집합 차집합은 합병 조건이 가능해야 한다. 일반 집합 연산자 일반 집합 연산자 : 합집합, 교집합, 차집합, 교차곱
- 데이터 아키텍처 & 처리기술 & DBMS/Data Architecture
- · 2020. 4. 8.
순수관계연산자
순수 관계 연산자 ※ 순수관계 연산자란 관계 데이터베이스에 적용할 수 있도록 특별히 개발한 관계 연산자를 말한다. 순수 관계 연산자 : Select, Project Join, Devision Select Select는 릴레이션에 존재하는 튜플 중에서 선택 조건을 만족하는 튜플의 부분집합을 구하여 새로운 릴레이션을 만든다. 릴레이션의 행에 해당하는 튜플을 구하는 것이므로 수평연산이라고도 한다. Project Project는 주어진 릴레이션에서 속성 List에 제시된 Attribute만을 추출하는 연산이다. 릴레이션의 열(세로)에 해당하는 Attribute를 추출하는 것이므로 수직 연산자라고도 한다. Join Join은 공통 속성을 중심으로 두 개의 릴레이션을 하나로 합쳐서 새로운 릴레이션을 만드는 연산이다..
- 데이터 아키텍처 & 처리기술 & DBMS/Data Architecture
- · 2020. 4.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