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속성 (Attribute)의 개념

속성이란 사전적인 의미로는 사물(事物)의 성질, 특징 또는 본질적인 성질, 그것이 없다면 실체를 생각할 수 없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본질적 속성이란 어떤 사물 또는 개념에 없어서는 안 될 징표(徵表)의 전부이다. 이 징표는 사물이나 개념이 어떤 것인지를 나타내고 그것을 다른 것과 구별하는 성질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사전적인 정의 이외에 데이터 모델링 관점에서 속성을 정의하자면, “업무에서 필요로 하는 인스턴스로 관리하고자 하는 의미상 더 이상 분리되지 않는 최소의 데이터 단위”로 정의할 수 있다. 업무상 관리하기 위한 최소의 의미 단위로 생각할 수 있고, 이것은 엔터티에서 한 분야를 담당하고 있다.

속성의 정의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 업무에서 필요로 한다.
  • 의미상 더 이상 분리되지 않는다.
  • 엔터티를 설명하고 인스턴스의 구성요소가 된다.
더보기

ENTITY 내에서 관리하고자 하는 정보들의 항목

  • 자격을부여
  • 식별자
  • 분류를 위해
  • 량의 계수화
  • 상태,추이의 관리

ATTRIBUTE 명칭은

  • 의미가 명확하고  내용을 함축성 있게
  • 길어도 좋으나 의미에 충실
  • ENTITY 명을 사용하지 말 것
  • 필요 시 표준약어를 제정
  • EUC 에 대비해 End-user 의 사용이 쉽도록
  • 가능한 복합명사(일자 -> 판매일자)
  • 단 하나의 ENTITY 에만 속하도록

의미상 더 이상 분리되지 않는다는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생년월일은 하나로서 의미가 있다. 만약 이것을 생년, 생월, 생일로 구분한다면 이것은 사실상 하나의 속성을 관리목적에 따라 구분했다라고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S/W비용을 산정하는 기능점수(Function Point)를 산정할 때 이렇게 분리된 속성은 하나의 속성(DET)으로 계산하게 된다. 그러나 만약 서로 관련이 없는 이름, 주소를 하나의 속성 ‘이름주소’로 정의하면 어떻게 될까? 이것은 하나의 속성의 두 개의 의미를 갖기 때문에 기본속성으로서 성립하지 않게 된다. 이렇게 정리된 속성은 그냥 값의 의미로서 속성보다는 내역(Description)으로서 속성으로 예를 들어 인적사항이라는 속성으로 정의하여 관리할 수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