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엔터티, 인스턴스와 속성, 속성값에 대한 내용과 표기법

가. 엔터티, 인스턴스, 속성, 속성값의 관계

엔터티에는 두 개 이상의 인스턴스가 존재하고 각각의 엔터티에는 고유의 성격을 표현하는 속성정보를 두 개 이상 갖는다. 업무에서는 엔터티를 구성하는 특징이 무엇인지 또한 각각의 인스턴스들은 어떤 성격의 데이터로 구성되는지를 파악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분석단계에서 엔터티 내에 존재하는 여러 개의 인스턴스가 가지는 동일한 성격은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이에 이름을 부여하여 엔터티의 속성으로 기술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사원은 이름, 주소, 전화번호, 직책 등을 가질 수 있다. 사원이라는 엔터티에 속한 인스턴스들의 성격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항목이 바로 속성이다. 각각의 인스턴스는 속성의 집합으로 설명될 수 있다. 하나의 속성은 하나의 인스턴스에만 존재할 수 있다. 속성은 관계로 기술될 수 없고 자신이 속성을 가질 수도 없다.


엔터티 내에 있는 하나의 인스턴스는 각각의 속성들의 대해 한 개의 속성값만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원의 이름은 홍길동이고 주소는 서울시 강남구이며, 전화번호는 123-4567, 직책은 대리이다. 이름, 주소, 전화번호, 직책은 속성이고 홍길동, 서울시 강남구, 123-4567, 대리는 속성값이다. 그러므로 속성값은 각각의 엔터티가 가지는 속성들의 구체적인 내용이라 할 수 있다.

엔터티, 인스턴스, 속성, 속성값에 대한 관계를 분석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 한 개의 엔터티는 두 개 이상의 인스턴스의 집합이어야 한다.
  • 한 개의 엔터티는 두 개 이상의 속성을 갖는다.
  • 한 개의 속성은 한 개의 속성값을 갖는다.

속성은 엔터티에 속한 엔터티에 대한 자세하고 구체적인 정보를 나타내며 각각의 속성은 구체적인 값을 갖게 된다.
예를 들어 사원이라는 엔터티에는 홍길동이라는 사람(엔터티)이 있을 수 있다. 홍길동이라는 사람의 이름은 홍길동이고 주소는 서울시 강서구이며 생년월일 1967년 12월 31일이다. 여기에 이름, 주소, 생년월일과 같은 각각의 값을 대표하는 이름들을 속성이라 하고 홍길동, 서울시 강서구, 1967년 12월 31일과 같이 각각의 이름에 대한 구체적인 값을 속성 값(VALUE)이라고 한다.

나. 속성의 표기법

속성의 표기법은 엔터티 내에 이름을 포함하여 표현하면 된다.

'데이터 아키텍처 & 처리기술 & DBMS > Data Architec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도메인(Domain)  (0) 2020.04.08
4. 속성의 분류  (0) 2020.04.08
1. 속성 (Attribute)의 개념  (0) 2020.04.08
4. 엔터티의 분류  (0) 2020.04.08
3. 엔터티의 특징  (0) 2020.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