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CPP 1.6과 OCPP2.01 버전차이 요약](http://i1.daumcdn.net/thumb/C120x120/?fname=https://blog.kakaocdn.net/dn/dVMQKo/btsGeeqGfUB/IzWTCWcu24I0Ot3khPCX51/img.png)
OCPP 1.6과 OCPP2.01 버전차이 요약
- 카테고리 없음
- · 2024. 4. 1.
ESS(에너지 저장 시스템)의 Reverse Power Relay(역동력 릴레이)는 에너지 저장 장치에서 발생하는 역동력(Reverse Power) 상황을 감지하고 그에 대한 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입니다. 역동력은 일반적으로 발전기나 터빈과 같은 에너지 변환 장치에서 전기 네트워크로 흐르는 전력의 방향이 반대로 흐를 때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전력 네트워크로부터 에너지 저장 시스템으로의 전력 흐름이 발생할 경우 역동력이 발생합니다. 이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이 전력을 소비하는 것보다 전력을 생성하는 상황을 나타냅니다. Reverse Power Relay는 이러한 역동력 상황을 탐지하고 이에 대한 조치를 취합니다.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역동력 감지 Reverse Power Relay는 전..
"Over Voltage Ground Relay(과전압 그라운드 릴레이)"는 전기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과전압 상황을 탐지하고 그라운드에 대한 보호를 제공하는 장치입니다. 이 장치는 전기 네트워크에서 과전압이 발생할 때 발생하는 위험을 줄이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과전압은 전기 시스템에서 과부하, 회로 단락, 전기장치의 고장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전기 장비에 손상을 줄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전기 화재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과전압이 그라운드에 발생할 경우, 이는 전기 네트워크의 안전에 더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Over Voltage Ground Relay는 이러한 위험을 감지하고 그에 따른 조치를 취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 장치는 전압을 모니터링하고..
정보통신(IT) 기술과 제어 기술을 활용하여 상업용 빌딩, 사업장, 주택, 인프라(전력명, 교통망 등)을 대상으로 에너지 흐름과 사용의 시각화 및 최적화를 위한 에너지 솔루션 HEMS(Home Energy Management System) 가정용 관리시스템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력, 가스, 열 등을 IT기술을 사용하여 활용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 빌딩관리시스템 빌딩내에 배전, 설비, 공조설비, 환기 설비 등 에너지 모니터링 및 감시 제어 구성요소 : BAS, IBS, FMS, BMS FEMS(Factory Energy Management System) 공장관리시스템 공장내의 배전설비, 공조설비, 조명설비 생산라인 설비의 모니터링 및 제어 CEMS(Cluste..
스마트그리드는 전력망에 정보통신(ICT) 기술을 적용하여 공급자와 사용자가 실시간 정보 교환하는 등의 방법을 통하여 에너지 이용효율을 극대화하여 새로운 전력 부가서비스를 창출하는 산업이다. 스마트그리드의 주요 기술에 대하여 다음을 답하시오. 가.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의 유형과 스마트그리드에서의 활용방안 나. IEC 61850
OCPP 1.6과 OCPP 2.0.1은 각각 다른 버전의 Open Charge Point Protocol을 나타냅니다. 이 두 버전 간의 주요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프로토콜 구조 및 통신 프로토콜 OCPP 2.0.1은 OCPP 1.6에 비해 더욱 업그레이드된 프로토콜 구조를 제공합니다. OCPP 2.0.1은 WebSocket을 사용하여 통신하며, 이전 버전인 OCPP 1.6에서 사용되던 SOAP 및 HTTP 기반의 통신보다 더욱 빠르고 효율적인 통신을 가능하게 합니다. 2. 보안 및 인증 OCPP 2.0.1은 보안 및 인증 기능이 개선되었습니다. 이전 버전인 OCPP 1.6에 비해 더욱 강력한 보안 기능이 도입되었으며, 충전기와 충전 관리 시스템 간의 안전한 통신을 보장합니다. 3. 기능 확장..
OCPP(Open Charge Point Protocol)는 전기차 충전 인프라 시스템 간 표준화된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여러 버전이 있지만, 대부분의 버전에서 다음과 같은 주요 기능을 포함합니다: 1. 충전 제어 및 관리 OCPP를 사용하면 충전 관리 시스템은 충전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충전 시작, 중지, 일시 중지, 조절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2. 충전 상태 모니터링 OCPP는 충전기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 이는 충전기의 가용성, 충전 상태(충전 중, 대기 중 등), 전력 사용량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충전 이력 및 보고 OCPP는 충전 이력 및 보고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충전 세션의 이력..
오픈 차지 포인트 프로토콜(OCPP)은 서로 다른 전기차 충전기와 소프트웨어 간에 표준 언어를 확립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오픈 소스 통신 프로토콜입니다. 연혁 OCPP 사용 대상 OCPP는 충전기가 중앙 관리 시스템(중앙 관리 시스템의 백오피스)과 통신하는 데 사용하는 표준입니다. 서로 다른 전기차 충전소 회사 그리고 전기차 충전 소프트웨어 회사. 주로 누가 사용하나요? EV 충전기 제조업체는 전기차 충전기를 만드는 회사입니다. 👉 탐색 최고의 전기차 충전기 제조업체. 소프트웨어 제공업체는 충전소 관리 시스템(CSMS)을 구축 및 유지 관리하는 회사입니다. CPO충전 인프라와 충전 세션을 소유하고 있습니다. 그런 다음 EMSP는 고객 관계를 관리합니다. 👉 자세히 알아보기 CPO와 EMSP의 차이점. 참..
OCPP는 Open Charge Point Protocol의 약자로, 전기차 충전소와 충전 관리 시스템 간의 표준 통신 프로토콜을 정의하는 국제 표준입니다. 이 프로토콜은 전기차 충전 인프라의 상호 운용성과 통합성을 증가시키는 데 사용됩니다. OCPP는 전기차 충전 인프라 제조업체, 소프트웨어 개발자 및 서비스 제공 업체들 간의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기 위해 설계되었습니다. OCPP 스펙은 다음과 같은 주요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 메시지 포맷 OCPP는 XML 또는 JSON과 같은 텍스트 기반의 메시지 포맷을 사용하여 충전기와 충전 관리 시스템 간의 통신을 정의합니다. 이러한 메시지 포맷은 충전기의 상태, 충전 세션 정보, 충전 시작 및 중지 명령 등과 같은 데이터 교환을 가능하게 합니다. ..
AWS Auto Scaling은 애플리케이션의 수요에 따라 자동으로 리소스를 조정하여 성능을 유지하고 비용을 절약하는 서비스입니다. 이 중요한 서비스 중 하나가 Auto Scaling 그룹(Auto Scaling Group)입니다. Auto Scaling 그룹은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의 여러 인스턴스를 관리하는 논리적 그룹입니다. Auto Scaling 그룹을 설정하면 애플리케이션의 트래픽 패턴 및 부하에 따라 인스턴스를 자동으로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Auto Scaling 그룹의 주요 특징과 작동 방식입니다: 1. 스케일 인/아웃 Auto Scaling 그룹은 정의된 스케일 인/아웃 정책에 따라 트래픽이 증가하면 인스턴스를 자동으로 추가하고, 트래픽이 감소하면 인스턴스를 자동으로 제거하여..
AWS에서 ENI(네트워크 인터페이스)는 가상의 네트워크 카드로, AWS 리소스에 연결된 가상 네트워크를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각 ENI는 고유한 프라이빗 IP 주소, 고유한 맥주소(MAC address), 보안 그룹, 및 네트워크 관련 설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인스턴스나 다른 AWS 리소스에 대한 네트워크 트래픽을 관리하고 보안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ENI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1. 가상 인스턴스에 대한 추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가상 인스턴스에 ENI를 연결하여 여러 가지 네트워크 구성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퍼블릭 서브넷 및 프라이빗 서브넷에 각각 ENI를 할당하여 퍼블릭 및 프라이빗 IP 주소에 대한 액세스를 관리할 수..
AWS Route 53은 Amazon Web Services (AWS)의 관리형 DNS(Domain Name System) 서비스로,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거나 IP 주소를 도메인 이름으로 변환하는 등의 DNS 관련 작업을 수행합니다. 이 서비스는 고가용성, 확장성 및 안정성을 제공하여 인터넷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도메인 이름에 대한 빠른 응답 시간을 보장합니다. 다음은 AWS Route 53이 제공하는 주요 기능입니다: 1. 도메인 등록 Route 53을 사용하여 새로운 도메인을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2.DNS 레코드 관리 Route 53 대시보드를 통해 DNS 레코드를 만들고 관리하여 도메인 이름을 원하는 대상으로 매핑할 수 있습니다. 이는 웹 사이트 호스팅, 이메일 서버 ..
로드 밸런싱 정책 중 하나인 해시(hash) 기반 로드 밸런싱은 클라이언트의 특정 속성(일반적으로는 클라이언트의 IP 주소)을 해시 함수에 입력하여 그 결과를 기반으로 서버를 선택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클라이언트가 항상 동일한 서버로 연결되도록 보장하거나, 특정 속성에 기반하여 트래픽을 분배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해시 기반 로드 밸런싱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1. 유지 세션 기능 클라이언트의 특정 속성을 해시하여 서버를 선택하기 때문에, 동일한 클라이언트가 항상 동일한 서버로 연결됩니다. 이는 세션을 유지해야 하는 서비스에서 매우 유용합니다. 2. 분산된 트래픽 서로 다른 클라이언트가 동일한 속성을 가질 때(예: 동일한 IP 주소를 가진 클라이언트가 여러 개), 해시 함수에 의해 서로 다른 서버..
Apache Reverse Proxy는 클라이언트 요청을 받아서 그 요청을 다른 서버로 전달하고, 서버로부터 받은 응답을 클라이언트에게 반환하는 Apache 웹 서버의 기능입니다.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는 마치 Reverse Proxy가 직접 서비스하는 것처럼 보이는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를테면, 인터넷에서 내부 웹 서버로의 접근을 허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Reverse Proxy를 사용하여 외부에서 접근 가능한 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Apache Reverse Proxy를 설정하기 위해서는 `mod_proxy`와 `mod_proxy_http`와 같은 Apache 모듈을 활성화해야 합니다. 이러한 모듈을 활성화하면 Apache가 클라이언트 요청을 다른 서버로 전달하고, 해당 서버..
1.1 정보보호 정책 통제항목 1.1.1 정보보호 정책 수립 세부통제내용 정보보호 정책을 문서화하고, 정보보호 최고책임자의 승인 후 정책에 영향을 받는 모든 임직원 및 외부 업무 관련자에게 제공하여야 한다. 점검항목 1) 클라우드 정보보호 정책을 수립하고, 정책 시행을 위한 관련 지침, 절차, 매뉴얼 등을 문서화하고 있는가? 2) 클라우드 정보보호 정책은 정보보호 최고책임자로부터 제 ∙ 개정 시 승인을 받고 있는가? 3) 클라우드 정보보호 정책에 영향을 받는 모든 임직원 및 외부 업무 관련자에게 정책의 내용을 이해하기 쉬운 형태로 최신본으로 전달하 고 있는가? 신청기관 준비사항 (관련증적) • 정보보호 정책서 • 정보보호 시행문서 • 정보보호 최고책임자의 승인을 확인할 수 있는 내부결재문 또는 서명본 •..
1. 인증제도 클라우드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해 「클라우드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 제23조의2에 따라 정보보호 수준의 향상 및 보장을 위하여 보안인증기준에 적합한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에 대하여 보안인증을 수행하는 제도입니다. 보안인증의 표시는 「클라우드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 제23조의2조제3항에 따라 보안인증을 받은 클라우드컴퓨팅서비스에 대해 표시할 수 있습니다. 보안인증의 표시는 「클라우드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4조에 따라 표시도안의 크기를 용도에 맞게 같은 배율로 조정할 수 있으며, 알아보기 쉽게 표시하여야 합니다. 표시도안의 색상 및 글씨체는 임의로 변경할 수 없습니다. 2.목적 및 필요성 국가·공공기관에게 안전성 및 신..
제40조(외부주문등에 대한 감독 및 검사) ① 금융회사 및 전자금융업자는 전자금융거래와 관련하여 전자금융보조업자와 제휴, 위탁 또는 외부주문(이하 이 조에서 “외부주문등”이라 한다)에 관한 계약을 체결하거나 변경하는 때(전자금융보조업자가 다른 전자금융보조업자와 외부주문등에 관한 계약을 체결하거나 변경하는 때를 포함한다)에는 전자금융거래의 안전성 및 신뢰성과 금융회사 및 전자금융업자의 건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금융위원회가 정하는 기준을 준수하여야 한다. ② 금융위원회는 제1항의 규정에 따른 계약 내용이 금융회사 또는 전자금융업자의 경영의 건전성 및 이용자의 권익을 침해하는 것이라고 인정하는 때에는 그 금융회사 또는 전자금융업자에 대하여 관련 계약 내용의 시정 또는 보완을 지시할 수 있다. ③ 금융감독원장..
제12조(개인위치정보를 안전하게 저장·전송할 수 있는 암호화 등의 조치) 위치정보사업자등은 개인위치정보를 안전하게 저장·전송하기 위하여 다음 각 호의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1. 암호화 등 위치정보를 안전하게 저장·전송하기 위한 보안 조치 2. 위치정보취급자의 접속시간을 필요최소한으로 제한하는 등의 조치 3. 기타 권한 없는 접근을 차단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술적 조치 서비스 도메인 SSL 인증서 적용 위/경도 암호화 적용 알고리즘 : AES(AES/CBC/PKCS5Padding) 위치정보는 DB서버에 암호화 적용하여 저장되고 있음
개인위치정보 수집 시 정보주체 또는 위치정보 수집 장치 소유자에 대해 사전고지와 명시적 동의를 거치도록 계획하고 있습니까? 1. 개인위치정보를 수집하는 경우에는 정보주체 또는 위치정보 수집장치 소유자에 대해 관련 사항을 명시적으로 알리고 동의를 받아야 한다. ① 위치정보사업자의 상호, 주소, 전화번호 그 밖의 연락처 ② 개인위치정보주체 또는 법정대리인의 권리와 그 행사방법 ③ 위치정보사업자가 위치기반서비스사업자에게 제공하고자 하는 서비스의 내용 ④ 위치정보 수집사실 확인 자료의 보유근거 및 보유기간 ⑤ 개인위치정보의 수집방법 서비스 이용약관에 명시 위치정보를 수집하여 위치기반서비스사업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사업으로 영위하는 위치정보사업을 하고자 하는 자(위치정보사업자)는 방송통신위원회의 허가를 받아야 하며..
Q. 위치기반서비스 사업자 신고, 꼭 해야 하나요? 요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길을 찾거나 근처 가게 등을 추천하는 서비스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개인의 위치를 기반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자라면 위치기반서비스 사업자 신고가 필수인데요. 신고 방법이 복잡하고 어려워 보여 꼭 신고를 해야 하나 고민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위치기반서비스 사업자 신고를 하지 않고 사업을 하는 경우 3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 원 이하의 벌금이 부과될 수 있으니 반드시 신고해야 합니다. 1. 위치기반서비스 사업자 신고 대상 특정 개인의 위치 정보를 수집·이용한다면 모두 위치기반서비스 사업자 신고 대상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면 됩니다. 여기서 개인의 위치 정보란, 고객의 GPS 좌표값, Wi-Fi Access Point, 기지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