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포토공정(Photolithography)은 반도체 제조 과정에서 웨이퍼 표면에 미세한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핵심 공정입니다. 이 과정은 빛을 이용해 설계된 회로 패턴을 웨이퍼에 전사하며, 반도체의 집적도를 결정짓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포토공정의 주요 단계
1. 웨이퍼 준비 및 감광액 도포
웨이퍼 표면을 깨끗이 세척하고, 감광성 물질인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를 균일하게 도포합니다. 이는 스핀 코팅 기술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후 소프트 베이킹(Soft Baking)을 통해 감광액의 용매를 제거하여 안정화시킵니다.
[1] https://en.wikipedia.org/wiki/Photolithography
[3] https://www.azonano.com/article.aspx?ArticleID=6376
[4]https://www.waferworld.com/post/photolithography-its-importance-in-semiconductor-manufacturing
2. 포토마스크와 노광
회로 패턴이 담긴 포토마스크(Photo Mask)를 웨이퍼 위에 정렬한 후, 자외선(UV) 또는 극자외선(EUV) 등의 빛을 조사합니다.
빛은 마스크의 패턴을 통과해 감광액에 특정 영역만 화학적으로 변화를 일으킵니다[1][6][7].
사용되는 빛의 파장에 따라 최소 구현 가능한 회로 크기가 결정되며, EUV는 가장 미세한 패턴(수 나노미터 수준)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6].
[6] https://www.asml.com/en/news/stories/2021/semiconductor-manufacturing-process-steps
[7]https://semiconductor.samsung.com/support/tools-resources/fabrication-process/eight-essential-semiconductor-fabrication-processes-part-4-photolithography-laying-the-blueprint/
3. 현상(Develop)
노광된 웨이퍼를 현상액으로 처리하여 빛에 노출된 영역(양성 감광액) 또는 비노출 영역(음성 감광액)을 제거합니다. 이를 통해 웨이퍼 표면에 원하는 회로 패턴이 드러납니다[2][5].
[2]https://news.samsungsemiconductor.com/kr/%EB%B0%98%EB%8F%84%EC%B2%B4-8%EB%8C%80-%EA%B3%B5%EC%A0%95-4%ED%83%84-%EC%9B%A8%EC%9D%B4%ED%8D%BC%EC%97%90-%ED%9A%8C%EB%A1%9C%EB%A5%BC-%EA%B7%B8%EB%A0%A4-%EB%84%A3%EB%8A%94-%ED%8F%AC%ED%86%A0/
[5]https://semiconductor.samsung.com/kr/support/tools-resources/fabrication-process/eight-essential-semiconductor-fabrication-processes-part-4-photolithography-laying-the-blueprint/
4. 패턴 전사 및 후처리
형성된 패턴은 이후 식각(Etching), 증착(Deposition) 등의 공정을 통해 웨이퍼에 영구적으로 전사됩니다. 이후 하드 베이킹(Hard Baking)을 통해 패턴의 내구성을 강화합니다[3][4].
포토공정의 중요성
Photolithography: A Step-By-Step Guide
AZoNano presents a step-by-step guide to photolithography, highlighting the key steps involved.
www.azonan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