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Determinants of Portfolio Performance"은 미국의 경제학자들 Gary P. Brinson, L. Randolph Hood, Gilbert L. Beebower에 의해 1986년에 발표되었습니다.
이 논문은 투자 포트폴리오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를 분석하고, 그 중에서도 자산배분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주장을 제시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이 논문에서 저자들은 투자 포트폴리오의 성과를 결정짓는 세 가지 주요 요소를 제시했습니다.
1. 자산배분 (Asset Allocation)
논문의 핵심 주장은 자산배분이 투자 포트폴리오 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입니다. 자산배분은 다양한 자산 클래스(주식, 채권, 현금 등) 간의 투자 비중을 조절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저자들은 자산배분이 포트폴리오 수익의 대부분을 설명한다고 주장했으며, 실제로 투자자가 어떤 자산 클래스에 투자하는지가 수익을 크게 좌우한다고 결과를 제시했습니다.
2. 섹터 및 종목 선택 (Security Selection)
특정 자산 클래스 내에서 어떤 섹터나 종목을 선택하는 것도 성과에 영향을 미칩니다. 특정 섹터나 종목이 시장 평균을 능가하거나 그에 못지않은 성과를 보일 경우, 해당 선택은 전체 포트폴리오 수익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3. Market Timing
특정 자산 클래스에 대한 투자를 시기적으로 조절하는 것도 포트폴리오 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는 투자자가 특정 자산이나 섹터의 시장 전망에 따라 투자 비중을 변화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논문은 투자자들이 자산배분에 더욱 주목해야 한다는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하였고, 투자 전략 수립에 있어서 자산배분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초가 되었습니다. 포트폴리오의 구성에 따라 수익과 위험이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자신의 투자 목표와 위험 허용 수준에 맞는 자산배분 전략을 구체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재테크•투자•경제•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목균형표(Ichimoku Cloud) (0) | 2024.02.05 |
---|---|
알파수익률과 베타수익률 (0) | 2024.02.05 |
기업 벨류업(Value Up) 프로그램 (0) | 2024.02.05 |
미국 장단기 금리차가 증시에 미치는 영향 (0) | 2024.02.05 |
미국 장단기 금리차 확인 (0) | 2024.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