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비트코인 (Bitcoin) 비트코인은 가장 잘 알려진 암호화폐 중 하나로, 2009년에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가명을 사용한 개발자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 비트코인은 분산 원장 기술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중앙 은행이나 정부와 같은 중앙 당국의 간섭 없이 거래가 이루어집니다. 비트코인은 유한한 공급량을 가지고 있어(2100만 개로 제한) 흔히 "디지털 골드"로 불리기도 합니다. 비트코인은 투자, 결제 수단, 자산 보호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 2.알트코인 (Altcoin) 알트코인은 비트코인 이외의 모든 암호화폐를 일컫는 용어입니다. "알트"는 "대체"를 의미하며, 비트코인에 비해 대체로 덜 알려져 있거나, 다른 목적이나 기술적인 측면에서 차이를 가지고 있는 암호화폐들을 가리킵니다. 알..
일목균형표(Ichimoku Cloud), 또는 일본어로는 "이치모쿠 구모"라고도 불리며, 기술적 분석에서 사용되는 하나의 독특한 지표체계입니다. 이 지표는 일목 시세표라고도 불리며, 트렌드의 방향성과 강도, 지지 및 저항 수준, 그리고 미래의 트렌드 방향을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일목균형표는 일본의 조지 쿠모모로부터 유래되었으며, 다음의 다섯 가지 주요 성분으로 구성됩니다. 1. 텐칸 선 (Tenkan-sen): 텐칸 선은 9일간의 고가와 저가를 더한 후 2로 나눈 값을 표시합니다. 이 선은 단기 트렌드의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2. 키죠운 선 (Kijun-sen) 키죠운 선은 26일간의 고가와 저가를 더한 후 2로 나눈 값을 표시합니다. 중기 트렌드의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3. 센코우 스패나 A (Se..
알파(alpha)와 베타(beta)는 주식 투자와 포트폴리오 관리에서 사용되는 두 가지 중요한 지표입니다. 1. 알파수익률 (Alpha Return) 알파는 포트폴리오나 펀드의 예상 수익률과 실제 수익률 간의 차이를 나타냅니다. 어떤 자산의 알파가 양수인 경우, 이는 시장 수익률을 능가하여 초과 수익을 창출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반대로 알파가 음수라면 시장 수익률보다 성과가 떨어진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알파는 주식이나 펀드의 매니저가 시장 조건에 비해 얼마나 우수한 성과를 보이는지를 측정하는 데 사용됩니다. 2. 베타수익률 (Beta Return) 베타는 주식이나 포트폴리오가 시장 지수에 대해 얼마나 민감한지를 나타냅니다. 베타가 1이면 해당 자산은 시장과 일치하는 움직임을 보입니다. 베타가 1보다 크..
논문 "Determinants of Portfolio Performance"은 미국의 경제학자들 Gary P. Brinson, L. Randolph Hood, Gilbert L. Beebower에 의해 1986년에 발표되었습니다. 이 논문은 투자 포트폴리오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를 분석하고, 그 중에서도 자산배분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주장을 제시한 것으로 유명합니다. 이 논문에서 저자들은 투자 포트폴리오의 성과를 결정짓는 세 가지 주요 요소를 제시했습니다. 1. 자산배분 (Asset Allocation) 논문의 핵심 주장은 자산배분이 투자 포트폴리오 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입니다. 자산배분은 다양한 자산 클래스(주식, 채권, 현금 등) 간의 투자 비중을 조절하는 것을 의미합니..
"벨류업(Value Up)" 프로그램은 기업이 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해 수립하거나 실행하는 전략이나 계획을 나타냅니다. 이는 주로 기업의 경영 및 운영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경쟁력을 강화하며 주주가치를 증가시키기 위해 시행됩니다. 벨류업 프로그램은 기업의 목표와 비전을 달성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들을 아우릅니다. 주요 특징 및 활동은 다음과 같을 수 있습니다: 1. 비즈니스 프로세스 개선 기업은 내부 프로세스 및 운영 체계를 평가하고 향상시키는데 중점을 둡니다.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을 절감하며 제품 또는 서비스의 품질을 향상시켜 경쟁우위를 확보합니다. 2. 혁신과 연구 개발(R&D) 신제품, 신기술, 또는 혁신적인 서비스를 개발하여 시장에서의 차별화를 도모합니다. 연구 개발에 ..
장단기 금리차(또는 이자율 곡선)는 장기와 단기 금리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데, 일반적으로 미국에서는 10년 만기 국채와 2년 만기 국채 간의 금리 차이가 주로 사용됩니다. 이 차이가 양수일 때는 긍정적인 차이로, 음수일 때는 부정적인 차이로 여겨집니다. 1. 긍정적인 장단기 금리차 긍정적인 장단기 금리차는 일반적으로 경제가 성장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경제 전망이 밝아지면서 미래의 수익을 더 높게 평가하고, 따라서 장기금리가 상승하는 경향이 나타납니다. 주식 시장에서는 기업들이 성장하고 수익이 향상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투자자들이 주식 시장에 긍정적인 전망을 갖게 됩니다. 이로 인해 주가 상승 압력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부정적인 장단기 금리차 부정적인 장단기 금리차는 주로..